TeamLog🦝/server🔗

server DNS

pigonhe 2024. 9. 29. 21:52

DNS (Domain Name System)

: 도메인을 ip 주소로 변환해 주는 프로토콜

example.com >> 93.184.215.14

 


Domain name

- TLD (Top Level Domain)

- SLD (Second Level Domain)


DNS Records

: 도메인에 연계된 IP 주소 및 해당 도메인에 대한 요청의 처리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.

 

- A (Address) : 도메인의 IP 주소를 갖고 있는 레코드

- AAAA : 도메인의  IPv6 주소를 포함하는 레코드

- CNAME (Canonical Name) : 하나의 도메인이나 하위 도메인을 다른 도메인으로 전달하며, IP주소를 제공하지는 않는다.

- MX (Mail Exchange) : 이메일을 이메일 서버로 전송한다.

- NS (Name Server) : DNS 항목의 이름 서버를 저장한다.

- TXT (Text) : 관리자가 레코드에 텍스트 메모를 저장할 수 있다. 종종 이메일 보관에 사용된다.


DNS 질의 과정

- Recursive Query 

: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 접속하려고 할때, 로컬 DNS 리졸버가 요청을 받아서 최종 IP 주소를 반환할 때까지 여러 DNS 서버에 질의를 재귀적으로 수행

- Iterative Query

: DNS 서버가 요청을 받으면 바로 답을 주지 않고, 다음 DNS 서버의 주소를 제공하는 방식


실습

초기설정

sudo apt update
sudo apt install bind9

cd /etc/bind

 


Zone 추가

cp db.local db.teamlog.zone

vi named.conf.local

# edit
zone "teamlog.net" IN {
           type master;
           file "/etc/bind/teamlog.zon
#


Zone 파일 수정


테스트

vi /etc/resolv.conf

#edit
nameserver 127.0.0.1
#

systemctl restart bind9
systemctl status bind9

nslookup teamlog.net
nslookup web.teamlog.net
nslookup sunrin.teamlog.net
nslookup ns.teamlog.net
nslookup www.teamlog.net

설정한 address 가 잘 적용이 된 것을 알 수 있다.

'TeamLog🦝 > server🔗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Nginx  (1) 2024.11.25
vi 기초 명령어  (2) 2024.11.17
SSH  (1) 2024.11.17
netplan  (3) 2024.10.02